현재 대학언론에 관해 논의가 될 때면 ‘대학언론의 위기’라는 단어는 꼬리표처럼 따라붙는다. 현재 대학언론은 사실상 ‘언론’이라는 표현이 부끄러울 정도로 위축돼있다. 학내에서 신문이라는 매체를 통해 어떤 사실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는 있지만 여론을 형성한다는 진정한 ‘언론’의 역할은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언론 직군에 대한 대학생들의 늘어가는 관심과 ‘언론 분야에 대해 높아지는 관심에 비견하면 학내 언론사의 위기는 의아함이 들 정도이다. 교내 학보의 근본적인 문제는 안일한 운영과 운영방식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다는 점에 있다. 학내 언론기관은 시중의 언론기관과 다르다. 학교의 고정적인 재정지원이 있으며 경쟁 자체가 없다. 이에 학보는 독자들의 관심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했고 주요 독자라고 할 수 있는 학우와 교수 그리고 교직원들과 점차 멀어지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제 대학언론은 그저 현시대가 ‘대학언론의 위기’여서 어쩔 수 없다는 인식으로 끝나선 안 된다. 학보는 변화해야 한다. 우선 매체적 수단 이외에 내실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학보의 활동적 측면에서 가시성과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각종 축제와 행사 그리고 사건 취재 시에 기자증 등의 수단으로 학보기자의 신분임을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학교 측에서 진행하는 ‘등록금심의위원회’와 ‘학생상벌위원회’ 등과 학생회 측에서 진행하는 ‘중앙운영위원회’나 ‘공간관리위원회’ 등의 주요회의에 출입기자 자격을 확보하여 ‘견제’와 ‘감시’의 언론의 역할을 수행하고 교내 언론사의 고정적인 입지를 확보해야 한다.

지속적인 학생 여론 모니터링을 통하여 학보에 필요한 콘텐츠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지면상에 유동적으로 대응을 해나가야한다.학생들이 원하는 콘텐츠가 무엇인지 혹은 어떤 점이 그들에게 유익할지에 대한 문제는 학보 내부의 ‘편집회의’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콘텐츠의 부족과 실용적인 정보의 부재라는 문제점의 해답은 ‘학우’들에게 있다. 더욱 학우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보는 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인 오프라인 활동과 더불어 모바일 활동에 대한 재정적·시간적 투자가 필요하다. 현 대학생 세대는 일방적인 정보제공보다는 쌍방향의 정보공유와 의사소통을 중시한다. 학보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주간 혹은 월간 단위로 발간되는 학보의 한계를 ‘속보’형식으로 보완하여 가장 현안을 가장 객관적이고 빠르게 제공해야한다. 더 나아가 학보의 사이트에 학우들이 가장 관심이 많은 강의평가 혹은 정보공유의 장을 마련하여 교내 커뮤니티 사이트의 장점을 일부 흡수할 필요가 있다.

‘좋은 기사를 쓴다면 언젠가는 누군가 알아봐 주겠지’하는 소극적인 태도는 이제 버려야 한다. 독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찾아다니고 바뀌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선행돼야 학보는 진정으로 빛이 날 수 있다. 과감한 변화와 대담한 선택이 향후 대학언론으로의 아주대학보의 향방을 결정할 것이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