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세월호의 선체인양작업이 시작됐다. 2014년 4월 16일 전국민을 충격에 빠트린 세월호 사건이 발생한지 꼭 3년만이다. 이번 작업을 통해 세월호의 선체가 인양된 후에는 9명의 미수습자들에 대한 수색과 선체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3년전 세월호 사건은 우리 국민에게 불신과 경각심을 일으켰다. 세월호 침몰당시 정부의 무능력한 대응과 그러한 대응방식에서 드러난 허술한 관리체계는 전 국민의 공분을 샀다. 이러한 분노는 단순히 세월호의 침몰 당시에 그치지 않았다. 세월호 침몰 이후 정부의 대응은 더 큰 분노를 가져왔다. 선체 인양에 대한 정치권의 권모술수와 세월호 유족들에 대한 배상·보상금 지급 기준에 대한 논란과 비방은 지속적으로 문제시됐다. 미숙한 대응으로 잃어버린 304명의 생명에 대해 추모를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약 3년의 시간동안 불필요한 논쟁으로 이들의 희생이 다른 논쟁거리들로 뒤덮여진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선체인양은 단지 침몰한 세월호에 대한 물리적인 인양에 그쳐서는 안된다. 지난 여러해 동안 실추된 우리나라의 정의와 도덕에 대한 인양으로 이어져야한다. 선체 조사위원에 대한 조속한 임명과 해당 조사위원회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명확한 진실을 밝혀내야한다. 8시간 동안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지 못한 대통령, 2달만에 백골이 되어 나타난 청해진해운의 실소유주 유병언 등 아직까지도 풀어나가야할 수수께끼가 많다. 이러한 수수께끼의 실마리는 세월호부터다. 진실을 밝히고 이러한 진실을 통해 지난 우리나라의 ‘잃어버린 3년’을 되찾아야한다.

사건 당시 정부의 조직적인 은폐시도와 비정상적인 위기대응 체계는 많은이들의 의아함을 불러일으켰다. 세월호 사건 수습 당시 청와대 전 민정수석 김영한의 업무일지에 따르면 2014년 10월 27일 일지에는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발언이라는 표시와 함께 시신 인양시에는 정부의 책임이 너무 커지게 된다는 의견이 적혀있다. 이를 비추어보아 정부가 실질적으로 시신인양 뿐만아니라 선체 인양에 대해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숙하고 은폐적인 대응은 결국 대통령 탄핵이라는 결과를 낳게됐다.

현재 세월호에 대해 고려해야할 것은 단 하나다. 여객선이 침몰했고 그 여객선에 타고 있던 학생, 교직원, 승객 그리고 승무원인 304명의 고귀한 생명이 희생됐다. 즐거운 마음으로 수학 여행길에 나섰던 학생이, 제자들에 대한 애정과 사랑으로 함께 수학 여행길에 올랐던 선생님이, 들뜬 마음으로 제주도로 향하던 승객들이, 승객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편안한 여행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했던 승무원들이 돌아오지 못했다. 더 이상의 정치적·이념적인 논쟁으로 이들의 죽음을 호도하는 일을 없어야할 것이다.

세월호 선체의 인양과 동시에 선체에 남아있는 진실을 찾아야한다. 이러한 진실을 토대로 지난 3년 동안 같이 사라졌던 우리 사회의 정의와 도덕적 질서를 회복해야한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