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의 지성인으로써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져지고 참여하는 것은 의무이자 책임이다. 혼란한 시국에 우리 학교 총학생회는 지난 3일 시국선언을 발표하며 범국민적 시류에 동참했다. 교수회 역시 지난 9일 ‘이제 국민은 박근혜 대통령을 파면한다’는 제목의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현 사태에 직면해 시국선언을 진행한 것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그러나 우리 학생사회는 이번 문제를 계기로 그간 행동에 대해서 돌아봐야 한다. ▲국정원 대선개입 ▲세월호 참사 ▲국정교과서라는 말도 안되는 문제들에 대해 교수회는 매번 시국선언을 통해 정부의 무능함을 꾸짖었지만 우리 학생 사회는 매번 침묵했다.

항간에선 ‘아주대는 선비들의 학교다’라는 말이 돌기도 했다. 사회가 아무리 시끄러워도 조용하기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심지어 사회적으로 명백히 잘못된 문제들에 대해서도 ‘정치문제 개입’을 자제하자는 말이 생길 정도다.

하지만 학생사회의 정치 개입과 사회 문제들에 대한 지적은 명백히 구분되는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국정원 대선개입 논란은 민주주의의 기본인 선거를 부정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우리가 나섰어야 했으며 세월호 참사에 대한 것은 침몰 과정에 있었던 국가의 무능함과 각종 논란들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것이었기에 함께 했어야 했다. 국정교과서는 말할 필요도 없다.

일반적 상식에 반하는, 사회 전반을 뒤흔드는 행위들을 비판하는 것을 정치적 문제로 치부하고 방관하는 것은 지성인으로서 가지는 직무유기다. 이번 시국선언은 그런 의미에서 중요한 한걸음이기도 했다.

지난 11일 성균관대, 한양대 등 5개 대학 학생들 일부는 ‘동맹휴학’을 선언했다. 연세대, 서강대 등 대학은 ‘민주주의 죽음 애도’라는 이름으로 상복 행진을 진행하기도 했다. 누가 이 행위들을 정치적 행동으로 볼 수 있을 것인가?

명문 사학의 이름은 단순히 대학평가나 취업률을 통해서만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아주인으로서 사회의 썩어가는 부분을 지적하고 우리 학생사회의 목소리를 전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의 잘못을 묵인하는 조용하기만 한 선비가 아니라 이를 지적할 수 있는 강직한 선비의 학교가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