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과 5일 동아리박람회가 열렸다. 동아리박람회는 대학 생활에 대한 설렘을 가득 가진 신입생들로 붐볐다. 하지만 이런 대학 생활의 첫 단추도 아직 제대로 꿰지 못한 이들이 있다. 바로 의과대학(이하 의대) 학우들이다. 의대 비상시국대응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신입생과 재학생의 중앙동아리 가입을 금지하고 기존 동아리 활동 또한 자제시켰다.

의대 비대위가 동아리 활동까지 금지 시킨 것에 대해서는 학우들의 갑론을박이 오가고 있다. 대다수는 의대 비대위의 행동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이다. 비대위의 행동이 이기적인 모습처럼 비춰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사적인 감정은 내려놓고 보다 객관적인 시선으로 이들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동맹휴학이 잘못됐다느니 동아리 활동을 금지시켰다느니하는 것은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

비대위의 방법의 문제는 차치하고 의대 학우들은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며 최근 아주대학교(이하 아주대) 학생사회에서 드물었던 집단행동을 이어가고 있다. 의대 교수들은 교육 여건을 고려하면 다음 해까지 늘릴 수 있는 신입생 정원은 최대 60명이라며 구체적 수치를 제시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 있는 이들의 목소리는 무시됐다. 아주대는 의대 정원을 기존 40명에서 144명으로 3배가 훌쩍 넘는 수치로 정부에 의대 증원 신청을 강행했다. 이러한 증가율은 다른 대학에서도 찾기 어렵다.

이러한 학교의 일방통행적인 정책은 그동안 학우들과의 소통을 강조해 왔던 최기주 총장의 행보와는 상반된다. 의대 비대위의 성명서에 따르면 증원 신청 과정에서 어떠한 소통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 최 총장은 의대 구성원들의 강력한 반발과 완화된 수치 제시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144명이라는 규모가 도출됐는지 최종 결정권자로서 학우들에게 명확하게 설명해야 할 책임이 존재한다. 타 단과대 학우들도 의대 학우들을 비아냥거리며 좋아할 상황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학교의 주인인 학우들이 집단행동을 통해 자신들의 의견을 명확하게 전달해도 묵살되는 상황은 분명 문제가 있다. 이런 일이 용인된다면 학교의 일방통행적 정책의 다음 피해자는 의대 학우뿐만이 아니게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