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감사위원회(이하 감사위)가 2분기 감사를 마무리했다. 큰 문제 없이 진행된 감사였지만 감사위의 한계 역시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학우들이 학생회비의 사용내역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감사위의 권한 확대가 필요하다.

총학생회(이하 총학)를 비롯한 각 단과대와 학과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감사에선 감사위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여실히 들어났다. 현재 감사위는 학생회 계좌 외 차명 계좌에 대한 감사권한을 갖지 못하며 전체 감사 대상에 비해 감사위원의 수가 지나치게 부족하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번 감사에선 감사위의 요청으로 대동제 운영비에 대한 회의가 이례적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만약 총학이 동의하지 않았다면 감사위는 이를 밀어 붙일 수 있는 힘이 없다. 더군다나 이번 회의 역시 권한이 없다는 점 때문에 감사가 아닌 브리핑 형식으로 진행됐다. 학생사회에서 가장 큰 단위의 금액이 쓰이는 행사에 대한 감사가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어 보인다.

지금껏 축제 기간동안 총학은 관행적으로 축제에 사용되는 비용을 집행국원의 계좌로 옮겨 사용해왔다. 전체 비용 정산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것이 어떻게 쓰이는지 학우들이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현재 감사위가 여기에 대한 감사를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실제로 수년간 4천만원이 넘는 큰 금액이 사용되는 축제에 대한 감사는 진행되지 않았다.

감사위의 구성 역시 문제다. 감사위는 피감사단체에 속하지 않은 회원 3인과 감사 대상인 중앙운영위원으로 구성된다. 감사 대상이 감사 단체를 운영한다는 점에서 과연 ‘학생회의 공정하고 깨끗한 운영을 위해 존재한다’는 목적을 과연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지금부터라도 학생사회가 공정하고 깨끗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감사위의 감사 권한을 확대하고 독립성을 확보해야 한다. 감사위원의 수를 늘리고 중앙운영위원회와 감사위원회가 분리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해야 한다.

현재 체제 안에서 감사위는 형식상의 감사만 진행할 수 있을 뿐이며 학생회비는 각 사용 단체의 양심에 기댈 수밖에 없다. 감사위는 건전한 학생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초석이다. 본래 감사위의 목적에 부합하는 활동을 위해서라도 현 감사위 제도는 개선돼야 한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