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년 9월 28일

예산에 대한 안건심의를 위해 열림 대의원 정기총회에서 또다시 만성적 문제점인 대의원들의 심의안건 파악미비와 대의원총회에 대한 인식부족이 지적됐다. 이 총회에 참석한 의결권자들은 총회 참석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을 뿐더러 안건에 대한 아무런 인식 없이 찬반기표만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위 내용은 당시 ‘심의안건 파악 미비’라는 기사에 의결권자들의 태도를 지적하면서 실렸다. 지난 달 26일 열린 공간총회에서 이와 비슷한 ‘의결권자의 태도’ 문제가 발생했다. 지난 2월 학생자치공간에 대한 배정권한이 공간관리위원회(이하 공관위)로 인계되면서 공관위는 공간배치에 대한 기준을 논의해왔고 최종 결정된 기준을 공간총회에 건의했다.

학생자치공간을 학교가 아닌 학생사회의 힘으로 배치하는 중요한 자리인 만큼 원천관 대강당을 꽉 채울만큼의 학우들의 참여가 있었다. 그러나 공과대학운영위원회(이하 공운위)측 의결권자들은 공과대학(이하 공대)측에 많은 자치공간이 할당되지 않는 점을 문제로 삼으며 항의했다. 오랜 토의를 거쳐 산정된 기준이고 공대 부회장도 공관위에 포함돼 있었지만 그들은 ‘그건 난 모르겠다’식의 태도로 일관했다.

이러한 의미없는 공대측의 발언과 그들을 달래고자 애쓰는 타 단과대측의 소모적인 논쟁은 결국 공운위측 의결권자들이 공간총회에서 대거 퇴장하는 것으로 끝났다. 아마 그들은 그러한 행동이 공대전체의 공공선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지금까지 3천명의 공대학우들을 위해 치열한 논쟁을 계속했으니 이제 멋있게 퇴장해도 될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일까. 아니면 정족수미달로 안건통과가 진행되지 못하게 하려는 심산이었을까.

중요한 점은 공운위측 의결권자들이 학생사회와 상생하려는 노력이 결여돼 있다는 것이다. 본인들의 몫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게 되자 퇴장하는 그들의 모습에서 학생사회의 공익에 전혀 관심없음을 읽을 수 있었다.

물론 3천명의 학우를 대변하는 공대는 다른 학과보다 산술적으로 훨씬 많은 공간을 배정 받아야한다는 주장은 충분히 공감한다. 하지만 한정된 공간의 수를 가지고 본인들만 배부르려는 행태는 이기적이라는 인정해야할 것이다.

곧있으면 전체학생대표자회의가 열린다. 공간총회에서보다 더 중대한 사안을 다루는 자리이기 때문에 공대는 이번 공간총회의 경험을 통해 한층 더 성숙한 태도로 학생사회와 협력하는 자세를 보이길 바란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