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 7월 9일
 
인천·평택지역 학우들이 통학버스 이용에 불편함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학교측은 학우들의 불편이 있다는 실태를 파악했지만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에 나서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92년 8월 24일

통학버스 요금인상 논의가 91년 2학기부터 진행해 1년 만에 결국 타결됐다. 하지만 통학버스 배차시간조정과 과밀승차에 대한 대처방안이 마련되지 않았음에도 학교측은 ‘통학버스 이용하는 학우가 7백 명뿐이다’ 는 이유로 관여하지 않았다. 이에 당시 인권복지위원장 전미영(심리) 동문은 “학교측의 불성실한 자세는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20년이 훌쩍 지난 위의 기사는 신기하게도 지금의 상황과 매우 유사하다. 90년과 92년 그리고 이번 해도 학교측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통학버스에 관해서 학교는 매번 학우들을 배려하지 않는 태도를 보인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통학버스 사업에 대한 학교측의 태도는 달라진 점이 없다. 학교측은 물가가 계속 오르는 반면 등록금이 매년 동결되기 때문에 학교의 재정적인 어려움이 있다면서 최대한 재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엔 어쩔 수 없다고 말한다. 또한 일부 학우들만 통학·셔틀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모든 학우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생복지에 투자하겠다고 한다.
학교측의 그러한 방향이 옳고 학교와 학생사회의 대화창구가 정례화되지 않았다고 해도 학우들의 의견수렴을 진행하지 않는 학교측의 처리 방식은 분명히 달라져야 한다. 통학·셔틀버스는 학우들의 복지를 위한 사업이다. 학생복지에 관련된 사안은 학교가 일방적으로 결정해선 안 된다. 학교와 학생사회가 바라는 학생복지의 방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앞에서 언급한 학교측의 입장을 학생사회가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학생사회도 이에 충분히 공감할 수 있고 학교의 재정적인 상황에 맞게 학생사회도 움직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에 재부활된 통학·셔틀버스만 봐도 그렇다. 처음부터 학생사회와 학교부처가 이야기를 통해서 버스들을 재배치했다면 폐지로 인한 학우들의 불편은 없었을 것이며 훨씬 더 좋은 방안을 마련했을 것이다.
또한 학교는 시간상의 문제, 모든 의견을 수렴하기는 힘들다는 이유를 들면서 매번 학생사회와 협의하려고 하지 않았다.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고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없다면서 말이다. 하지만 대화를 통해서 진행한다면 이렇게 결과가 번복되고 학우들이 학교에 불만을 가지는 사태가 벌어지는 일을 확연히 줄어들 것이다. 그렇기에 학교가 학생복지에 관한 논의는 앞으로 학생사회와 같이 진행하는 방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