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간의 주목을 받았던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결은 이세돌의 1승 4패로 끝이 났다. 오래 전에 컴퓨터의 인공지능은 체스와 장기분야에서 인간을 넘어섰지만 바둑만큼은 기계가 인간을 넘어설 수 없는 분야였다. 사람들은 이번 경기로 인해 컴퓨터가 어쩌면 모든 분야에서 인간을 능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게 됐다. 우리가 이세돌의 1승에 환호했던 이유는 무의식중에 컴퓨터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일 지도 모른다. 이렇듯 우리는 이세돌 알파고의 대국이 주는 시사점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이번 바둑대결을 보고 단순히 기계와 인간 사이의 승패만을 분석하기보다 이 사건에 대한 성찰을 통해 미래를 대비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사람과 바둑을 둬서 이길 정도의 인공지능이 과연 우리의 미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것인가를 생각해 봐야 한다. 기계의 발전은 수세기 전부터 이어져왔다. 그리고 지금 기계는 뛰어난 ‘지능’을 바탕으로 여러 분야에서 인간을 대체하고 있다. 의학 분야에서는 이미 라식·라섹수술과 같은 간단한 수술에서기계가 의사를 대체하고 있다. 미국의 한 회사는 회계분야에 인공지능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숙련된 회계사를 고용하는 것보다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임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한 반복 작업만을 대체할 수 있다고 여겨졌던 기계가 전문적인 직업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것이 우리에게 밝은 미래를 가져올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다. 기계가 인간을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켜 준다고 긍정적으로 보는 시선도 있지만 기계가 인간의 일자리를 뺏을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노동의 종말’을 쓴 제레미 리프킨은 기술의 진보가 황금빛 미래를 보장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사람들은 90년대 이후 도입된 공장 자동화 시스템이 생산력을 증대시켜 이전보다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으로 생산량이 급증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이면에는 실업자의 대량발생과 빈부격차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존재해왔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현대사회에서는 더욱 빠르게 진화하는 컴퓨터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고 있다. 이에 정보 낙관론자들은 인간이 노동으로부터 해방돼 지상낙원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증대된 생산량이 모든 사람들에게 고루 돌아가지 않았던 과거를 보면 미래의 전망이 그렇게 밝다고 볼 수는 없다. 오히려 컴퓨터가 인간의 노동을 모두 빼앗아 빈부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부의 분배가 더욱 불균형화 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빠르고 정교하게 발전할 것이다. 기계의 인간 대체현상이라는 거대한 사회의 변화는 누구도 막을 수 없다. 다만 우리는 인공지능의 발달이 항상 유익한 결과를 산출하지 않음을 지각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한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