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부터 교내 흡연구역과 금연구역이 혼재돼 흡연구역이 아닌 곳에서도 간접흡연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흡연구역의 명확한 범위 설정에 대해 학교 측은 학우들을 제재할 방법이 없어 이를 설정하지 않았으며 그보다 학우들의 인식개선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는 명확한 공간 설정으로 얻어질 사회적 영향력(직접적인 제재가 불가능한 공공정책에서 주로 활용된다)을 간과한 생각이다. 학우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선 명확한 흡연구역 범위설정이 금연 캠페인보다 우선시 돼야 한다는 것이다. ‘누구나 알 수 있게’ 흡연구역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은 학우들이 흡연구역을 벗어나 흡연하는 타인이나 심지어 자신까지 감시하도록 만드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 규범적 질서를 정립하기 때문이다.
리처드 탈러, 캐스 선스타인 공저 ‘넛지(Nudge)’에서는 사회적 영향력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눴다. 첫째는 ‘동료 집단의 압력’이고 둘째는 개인이 수많은 사람들이 취하는 행동이나 사고로부터 최선의 행동이나 사고의 정보를 전달받는 것이다. 실례로 사람들이 도서관에서 정숙을 지키는 것은 그것을 어길 시에 자신에게 향할 타인의 비난(동료 집단의 압력)에 대한 두려움이 최선의 행동을 전달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흡연문제도 사회적 영향력을 활용해 해결할 수 있는데 그 전제가 되는 것이 흡연구역의 범위 설정이다.
여태껏 비흡연자 학우들은 흡연구역을 지키지 않는 학우들로 인해 간접흡연으로 고통 받아도 흡연구역 범위가 모호해 싫은 소리 한마디 하지 못했다. 하지만 범위의 명확한 설정은 그들을 비난할 명백한 근거가 생긴다. 그로인해 흡연하는 학우들도 자신에 대한 다른 학우들의 비난을 우려함과 동시에 자신이 흡연구역 밖에서 흡연하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함으로써 스스로 흡연구역을 준수하게 된다. ‘흡연구역 이외의 장소에서는 담배를 펴선 안 된다’는 규범적 질서가 ‘도서관에서는 정숙해야 한다’처럼 실효성을 가지려면 먼저 우선으로 흡연구역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 흡연·비흡연자 학우들 모두가 눈으로 보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흡연구역 범위의 명확한 설정을 토대로 사회적 영향력을 활용한다면 법적인 제재 없이도 교내에 바람직한 흡연문화가 형성될 것이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