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전후, 학보는 학내 언론의 중심 축으로 여론을 선도하고 학보를 제작하는 학생기자들은 어지러운 사회 소식과 더불어 학내의 문제점을 깊게 파고들며 지금보다 더 열악한 상황에서도 학보를 제작했다. 검열과 검토, 사회의 억압을 받으면서 학내 검열까지 견뎌내야했던 학보사의 상황은 그 당시보다 개선됐지만 스펙쌓기와 취업전쟁의 전유물이 된 대학생들에게 학보는 관심사에서 멀어져버린 안타까운 실정이다.
신문은 크게 보도의 기능, 논평의 기능, 오락의 기능, 광고의 기능을 가지는데, 특히 학보는 언론이 가지는 비판, 견제기능을 함과 동시에 학내 사안을 보도하고 대학생으로서 알아야할 사안을 다시 가공하는 기획 작업을 통해 신문을 제작, 발행하고 있다. 신문이 다루는 내용을 통해 학보는 학우들에게 학내 사안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사안을 개선시키기 위한 행동을 촉구한다든지, 여론을 형성해 구성원에게 공동체 의식을 만들어 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학우들의 관심에서 빗겨나간 현 시대의 대학 언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이전 세대가 사회의 살벌했던 독재체제 하에서 고민했던 편집권 투쟁이나 기사 검열권 환수투쟁이 아니라 개인을 대학이라는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묶는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즉 ‘언론’의 의미에서 여론의 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현재 학우들 사이의 소통창구라 불리는 학내 온라인 커뮤니티조차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선 언론이 앞장서서 소통하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 아주대학보는 학내 사안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학우 간담회, 총학생회 공청회나 학보의 매호마다 ‘학보를 읽고’와 ‘먼내골 메아리’라는 기고 코너를 통해 학우들의 참여 독려를 유도하지만 현재 그리 많은 학우들의 이목을 끌고 있진 못하다. 학우들도 학보의 존재이유가 아주대학교와 학우들을 위한 것임을 알고 학교에 대한 애정과 신뢰, 학교의 발전을 위해 참여의 노력을 보여줬으면 한다.
학보는 그 기본 정신을 지키되, 시대의 흐름에 맞게, 학우들의 필요에 따라 기본적인 포맷이나 개선안을 준비해야 한다. 그 주체인 아주대학보사는 온고지신의 정신을 살려, 교내언론으로써 학보가 어떤 위치에 서서 아주대학교 구성원과 아주대학교의 발전 방향을 설계해야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며 40주년을 맞은 아주대학보의 더 나은 미래를 추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