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은 모두 역사적 갈등이라는 사슬에 묶여 있다. 매년 한·일 양국은 일본 초·중·고교의 역사교과서와 관련해 역사적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에서부터 영토 문제, 야스쿠니 신사참배까지 역사적 갈등은 정치적·경제적 문제로 확장되면서 두 나라의 골은 점점 깊어지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와 중국도 2002년부터 동북공정이란 역사적 갈등 관계에 놓여있다.
이러한 역사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민간 차원에서는 한·중·일 3국의 역사학자와 교사들이 ‘미래를 여는 역사’라는 책을 출판하면서 어느 정도의 노력은 기울였으나 정부 차원의 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2002년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와 2006년 중일역사공동위원회가 각각 출범했으나 현재 모두 활동을 중단한 상태다. 이러한 단기적 활동이 중단된 원인은 공동역사연구를 외교의 일환으로 간주하지 않고 보여주기 식으로 역사대화에 임하는 중국, 일본 정부의 태도에 있다. 이에 따라 정부차원의 역사대화에서 삼국이 역사교과서에 대한 대화뿐만 아니라 역사화해에 대한 논의를 하지 못하고 있다.
수십 년 동안 유럽의 독일, 프랑스, 폴란드 삼국은 공동으로 역사 교과서를 만들어 왔으며 과거의 역사적 갈등을 해결하고 3국이 협력해 서로의 발전에 도움을 주는 관계가 됐다. 이와 같이 한·중·일 삼국도 서로가 대립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협력해야 할 대상이어야 한다. 물론 역사 인식에 있어서 삼국이 서로 다른 이해를 하고 있지만 대립하기보다 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사적 대화의 장이 형성돼야 한다. 역사적 대화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서 민간 차원에서는 현재와 같이 계속해서 3국의 연구원과 교사가 노력해야 하며, 학생들을 위한 포럼도 개최해야한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도 기존과 같이 소극적인 태도로 임하기보다는 삼국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역사 교과서에 대한 논의를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삼국모두 역사를 바라보는 인식을 바꿔야 한다. 무조건적으로 국가와 민족을 내세우며 민족주의적 정체성 확립을 우선해서는 안 된다. 상대 국가의 역사인식에 대한 객관적인 접근과 동시에 자국의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이렇게 할 때 동아시아 지역 국가로서 삼국이 서로 협력할 수 있으며 보다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저작권자 © 아주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